마틴 루터 킹 목사 출생일에 흑인 역사를 배우는 시간을 갖다

김영동 목사, 사진, 필자 제공.김영동 목사, 사진, 필자 제공.

무폭력 저항으로 흑인 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을 이끌었던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unior) 목사는 1929년 1월 15일에 태어났다. 미 연방정부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정월 셋째 월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했다. 1968년 킹 목사가 암살된 후, King’s Day를 연방 공휴일로 제정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지만, 실제로 공휴일로 제정된 것은 1983년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 대통령 임기 중이었다. 그 후에도 3년간의 반대가 있었고, 1986년부터 대부분의 주에서 이를 공휴일로 기념하기 시작했다. 결국 2000년이 되어서야 전국 모든 주에서 이를 공식적인 공휴일로 기념하게 되었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살아 있었다면 96세가 되는 지난 1월15일,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실행위원회(Racial Justice Task Force)는 웨비나를 열어 그를 기리고, 흑인 역사와 경험을 배우며, 한인 커뮤니티가 그들과 어떻게 연대할 수 있을지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종정의실행위원회 공동위원장인 김성실 권사의 환영 말씀과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사무총장인 장학순 목사의 기도로 시작된 웨비나에서, 김성실 권사와 장학순 목사는 계속되는 LA 화재에 대한 깊은 슬픔과 애도를 표했다.

전체 강연은 인종정의실행위원회의 일원으로 섬기며, 2023년 흑인 민권 운동 성지 순례를 통해 앨라배마(Alabama)주의 몽고메리, 셀마, 버밍햄 등과 조지아(Georgia)주의 애틀랜타를 방문했던 최진하 목사가 맡았다. 코네티컷주 웨스트 헤이븐에서 타인종 목회를 하는 뉴욕 연회 소속 최 목사는 피로 얼룩진 노예 창고(slave warehouse)와 흑인들이 사적인 처벌(私刑, lynch)을 당했던 역사적 장소를 방문하여, 현장에 새겨진 미국의 참혹한 노예제도 역사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었다.

최 목사는 2025년 11월에 열릴 인종정의 세미나 교재인 “트레인-더-트레이너(Train the Trainers)”의 공동 저자이다.

최 목사는 흑인 민권 운동 성지 순례의 경험을 살려, 다음의 5가지 사건을 통해 흑인의 역사와 투쟁 정신을 설명했다.

최진하 목사. 사진 제공, 김영동 목사.최진하 목사. 사진 제공, 김영동 목사.

기억해야 하는 5가지 사건

1. 대서양 위의 노예선

2. Lynching

3. Ji, Crow Laws

4. Civil Rights Movement

5. Black Lives Matter

웨비나의 한 참석자는 강의가 다소 단편적인 부분이 있었지만, 전체적인 구성과 전달하려는 목적이 매우 명확하고 일관되었으며, 내용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인상 깊었다고 전했다.

전체 강연이 끝난 후, 소그룹 토의는 인종정의실행위원회 공동위원장인 뉴욕 연회의 김영동(Steve Kim) 목사와 함께 한진택(Albert Hahn) 목사, 이 프르메(Prumeh Lee) 목사, 그리고 북일리노이 연회의 김희원 목사가 진행했다.

소그룹 토의가 마무리된 후, 김영동 목사는 전체 그룹 토의를 통해 서로 배우고 연대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목사는 마지막으로, 오는 5월에 아시아/태평양 문화유산의 달(Asian American Pacific Island Heritage Month)을 기념하고 배우는 웨비나를 계획 중이라고 밝히며, 이런 배움의 장과 연대의 자리는 11월에 예정된 세미나의 초석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김 목사는 또한 이번 웨비나의 참가자들에게 질문이나 제안 사항이 있으면, 다음 이메일 주소(injeongkmp@gmail.com)로 공유해 달라고 부탁했다.

2월은 흑인역사의달(Black History Month)로, 흑인 개인은 물론 공동체의 유산과 문화, 그리고 그들이 사회, 문화, 역사에 미친 깊고 지속적인 영향을 되새기며, 그들의 역할을 반추하고 배우며 영감을 얻는 시간이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흑인 역사의 달은 1926년, 역사가 카터 G. 우드슨(Carter G. Woodson)이 흑인 미국인들의 종종 간과된 기여를 인정하기 위해 “흑인역사주간(Negro History Week)“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2월은 노예제 폐지론자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와 평등을 위한 싸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 대통령의 생일에 맞물려 선택되었고, 이후 1976년에 이 주간은 한 달 동로 확대되어, 흑인의 업적과 투쟁에 대한 교육과 인식을 넓히고, 그들의 기여를 인정하는 중요한 시간이 되었다.

짧게나마 함께 나누었던 인종정의실행위원회의 웨비나를 통해 배운 흑인 역사와 투쟁 정신이 이번 2월 흑인역사의달 동안 의미 있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기대하며 기도한다.  

관련 기사 보기

미 감리교 역사의 첫 흑인 감독, 프랜시스 번즈

미 감리교 역사의 흑인 여성 선구자들 1

미 감리교 역사의 흑인 여성 선구자들 2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 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개체교회
2024년 8월, 시카고 근교인 알링톤하이츠에 소재한 인카네이션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2024 CRCC마당 수양회에서 박신애(Grace Pak) 목사가 ‘타인종 목회 신학’라는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사진 제공, 김희원 목사,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타인종 목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마당 2025 수강생 모집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는 타인종 목회자들의 목회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인 CRCC마당의 2025년(8회) 수강생을 모집한다. 등록 마감일은 3월 31일이다.
이민
연합감리교인들과 타 기독교와 유대인 단체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국토안보부를 상대로, 이민세관단속국(ICE)의 영장 없는 교회 기습 수색을 철회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영장 없는 교회 수색이 예배와 사역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이미지, 세르게이 토크마코프, 픽사베이.

연합감리교인들 트럼프 행정부에 소송을 제기하다

연합감리교회와 20여 기독교와 유대인 단체들은 이민세관단속국 요원들의 영장 없는 교회 급습 수색을 허용한 트럼프 정책을 철회하라는 연방 소송을 제기했다.
교단
한인 및 히스패닉 교회 지도자들은 연합감리교회 출판부가 재정 압박으로 장정의 번역과 출판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하자, 한인 공동체 스스로 장정 출간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2024년 판 연합감리교회 장정.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한인 공동체 2020/2024 장정 독자 출판 적극 검토하기로

연합감리교 출판부가 한국어 및 스페인어 장정 출판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에 장학순 목사는 출판부의 이번 발표가 일방적이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며, “우리 연합감리교회 한인공동체는 지혜를 모아 2024 장정을 반드시 출간할 것입니다. 한인 공동체가 합력하여 선을 이룰 수 있도록, 힘닿는 데까지 최선을 다해 해결책을 마련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