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절이란?

우리는 오순절(성령강림절) 주일을 사도들이 특별한 방식으로 성령을 받은 날로 기억합니다. 사도행전 2장을 보면, 세계 각국에서 유대인의 축제를 축하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온 사람들과 사도들에게 강한 바람과 함께 마치 불의 혀처럼 갈라지는 것들이 나타나 내려앉았다고 기록합니다.  

이날 3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세례를 받고, 초대 교회를 이루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오순절을 교회의 생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오순절이라는 말은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히브리어로 “수 주일”을 의미하는 유대인의 오순절 축제인 샤부오트는 본래 유월절 후 50일째 되는 날이며, 하나님께서 시내산의 모세에게 율법을 주신 날이기도 합니다.

기독교인들에게 오순절은 예수께서 부활하신 부활절(현대적 시간의 개념으로는 부활절 전 토요일 저녁)후 50일, 또는 예수께서 승천하신 지 10일째 되는 날입니다.

기독교인들에게 있어 오순절은 부활절 날 시작된 교회의 사역과 그에 대한 축하가 정점에 달하는 날입니다. 초대교회의 부활절은 세례를 베풀기에 최적의 날이었습니다. 새롭게 세례를 받은 사람들은 신앙생활을 통해 그들이 감당해야 할 사역을 준비하고, 그들이 현재 경험한 성례전인 세례와 성만찬의 의미를 포함한 기본적인 기독교 교리에 대해 훈련을 받았습니다. 오순절에 기독교인들은 새 교인들의 사역 참여를 축하합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역사적으로 두 가지 색이 오순절을 의미합니다.

붉은색은 사도들 머리 위에 임한 “불의 혀”를 시각적으로 상기시켜줍니다. 성령은 사도들로 하여금 많은 나라에서 온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부활에 관한 기쁜 소식을 여러 언어로 선포할 수 있는 능력을 주었습니다(사도행전 2 : 3).

초대교회에서 오순절은 세례의 날로 지켜졌기 때문에, 흰색을 사용했습니다. 세례를 받는 사람들은 죄로 인해 죽었지만,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하여 세상과 결별하고 새로운 삶으로 태어난다는 표징으로 흰옷을 입었습니다.

그래서 오순절은 "백색주일(Whitsunday 또는 White Sunday)”로도 부릅니다.   

오순절 이후의 절기는 새로운 제자들을 양육하고, 모든 교인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성령의 능력으로 부여받은 은사를 실천하는 시기입니다.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개체교회
레오폴드는 "대지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라는 철학적 입장을 통해 자연 보존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픽 출처, 수재모 “레오폴드의 대지윤리” 통합적 접근 네이버 블로그.

생태계 보전(保全)을 위하여

오정선 목사는 서구의 정신과 동아시아 유교의 윤리적이고 영적 차원을 상호 존중하는, 그리고 상호 보완을 하는 대화를 통해 생태계 보전(保全)과 생태계 위기를 지구공동체가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학
녹색은 주현절 후 강단에 사용되는 색이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한다. 사진, 수샌 닐스, 플리커,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 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