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 중 연합감리교뉴스를 후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금은 총회 관련 최신 뉴스와 심층 분석 및 다양한 기사 작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연합감리교인들은 재난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나요?

Translate Page

2021년  8월 14일에 아이티에서 발생한 지진과 연이은 태풍은 아이티를 극심한 고통에 빠뜨렸습니다. 유럽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는 전례 없는 홍수가 발생하여 큰 피해가 발생했고, 미 서부에서는 산불로 인해 많은 생명과 재산이 손실되어, 수많은 사람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엄청난 재난에 압도당합니다. 거리에는 물이 차오르고, 비는 그칠 줄을 모르며, 발밑의 땅이 흔들리기도 하고, 살던 집의 지붕이 바람에 날아가기도 합니다. 불안과 공포, 고통과 손실을 초래하는 질병의 확산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어려움은 감당할 수 없게 커지고, 재난의 크기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합니다.

재난이 닥칠 때, 우리는 보통 왜 그런 일이 생길까 하는 의문을 품습니다.

믿음에 의지하여 답을 얻으려 하지만, 쉽게 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신앙에 비추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고통을 이해하기 위해 그럴듯한 답을 찾으려 씨름하기도 하지만, 의문점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채로 남게 됩니다. 정직하게 말하자면 우리가 당하는 고난과 재해에 대한 답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이해에 대한 언약”이라는 제목의 설교에서, 우리는 끝까지 그 답을 알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왜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면서 악을 존재하게 하시고 괴로워하셨으며, 왜 그토록 선하심이 무한하시고, 그 지으신 모든 피조물을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기뻐하셨던 하나님 자신의 본성과 전적으로 상반된 악을, 자신의 거룩한 사역을 파괴하는 악을 허락하셨는지를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왜 이 세상에 죄와 그에 수반하는 고통이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은 이 세상의 시작부터 있었고, 세상의 종말이 올 때까지도 인간은 그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기 힘들 것입니다.”라고 존 웨슬리는 썼습니다.

결국 그 질문에 대한 짧은 답은 질병, 전염병, 자연재해 및 여타의 고통이 왜 세상의 일부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재난을 생기게 하셨을까요?

웨슬리는 우리가 완벽한 답을 알 수 없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단 한 가지는 분명하게 말합니다. 고통은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웨슬리는“하나님은 무한히 선하시며, 그 모든 피조물을 선하게 창조하시고, 보시기에 좋았다고 기뻐하셨습니다.”라고 썼습니다.

우리의 선하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고통을 보내실 리가 없다는 말입니다.

웨슬리에 의하면, 우리에게 고통을 초래하는 재난은 “하나님의 본성과 완전히 상반되며, 그의 거룩한 피조물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고통은 죄에 대한 형벌이나 하나님의 심판이 아닙니다. 우리가 고통을 겪고, 온 세상이 고통을 당하는 이유는 바로 우리가 인간이며, 온전하지 않은 이 세상의 구조와 물리적 환경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와 함께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섭리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또 다른 설교에서 웨슬리는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우리의 범사가 잘 되기를 갈망하시는 하나님에 관해 썼는데, 거기에 웨슬리는 재해 속에서도 하나님이 우리와 항상 함께하신다고 덧붙입니다. 

웨슬리는 “여호와의 눈은 의인을 향하시고(시편 34:15)’, ‘여호께서는 모든 것을 선대 하시며 그 지으신 모든 것에 긍휼을 베푸십니다(시 145 : 9).’ 하나님은  매순간 이 땅 위의 모든 피조물, 특히 인간들에게 닥칠 수 있는 모든 일을 염려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그것을 이해하기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사실 거의 모든 상황에서 보이는 복잡하게 얽힌 부정과 재난을 고려하면,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시고, 우리를 돌보신다는 사실은 믿기조차 어렵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사실을 반드시 믿어야만 합니다.”라고 합니다.

이것이 복음입니다.

우리가 그 이유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하나님이 고통받는 사람들과 함께하신다는 것을 우리 모두 알고 있습니다. 웨슬리가 말한 하나님은 “모든 피조물”을 돌보신다는 말에 주목하시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고난 속에 홀로 남겨두지 않으십니다.

우리의 경험을 통하여, 우리는 재난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에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하나님은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추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려주십니다(마 5:45).” 따라서 우리가 증거하는 복음은 하나님이 모든 것을 통해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사실입니다.

또 다른 질문

예수와 제자들이 눈먼 사람을 만나자, 제자들은 예수께 우리가 가진 질문을 합니다. "제자들이 물어 이르되 랍비여 이 사람이 맹인으로 난 것이 누구의 죄로 인함이니이까 자기니이까 그의 부모니이까?" (요한복음 9 : 2)

예수여, 고통은 왜 무작위로 일어납니까?

예수의 대답인 “이 사람이나 그 부모의 죄로 인한 것이 아니니라.”를 통해 우리에게 제자들이 잘못된 질문을 하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그러고는 “그에게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요한복음 9 : 3)라고 말씀합니다.

예수께서는 우리에게 일상의 은혜와 고통에 연계된 커다랗고 총체적인 보살핌에서 하나님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의 위대한 사역은 병원과 양로원 그리고 피난처에서도 발견됩니다.

예수께서는 제자들과 우리를 사역으로 부르십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위대한 역사를 드러내기 위해 예수님과 함께해야 합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고통받는 사람들과 함께할 때, 그 재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살아계신 하나님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질서를 사람들의 삶과 공동체에 회복시키기 위한 치유의 대사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재건과 회복을 추구하면서 다가올 부활의 날의 증인이 되어야 합니다.

연합감리교회 안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역에 동참합니다. 우리는 고통받는 사람들 곁에 섭니다.

우리는 청소 도구를 조립하고, 집안에 홍수로 밀려온 진흙을 삽으로 퍼내는 사람들 곁에서 함께 일합니다. 우리는 재난으로 망가진 집들을 재건합니다. 우리는 지역의 푸드 뱅크를 지원하고, 서로의 자동차를 관리해 주고, 옥에 갇힌 사람들을 방문하는 등 다양한 일을 합니다. 우리는 또한 지역 사회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하는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활발히 일합니다.

재난의 여파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합니다.

우리는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모든 인류가 가진 생명의 가치를 선포합니다. 우리는 연합감리교회 구호위원회를 통해 구호물자를 보내고, 하나님의 돌보시는 손길을 증거합니다. 의료 전문가들은 상처를 치료하면서 치료자 되신 예수를 증거합니다. 집이 복구될 때도 우리는 부활을 선포합니다. 우리는 애도하는 사람들과 함께 비통해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나눕니다.

우리는 왜 재난이 우리에게 일어나는지 알지 못하지만, 예수께서 명하신 치유와 회복 그리고 화해의 사역을 우리가 감당함으로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임하도록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야 합니다.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을 업데이트한 것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총회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 연합감리교뉴스.

2024년 총회에서 달라지는 것은 무엇인가?

다가오는 총회에서 안건 준비 자료집에 새롭게 수록된 내용들을 소개한다.
신학
클라우디아 텔리 운게산이 코트디부아르의 맨에 소재한 템플 엠마누엘 연합감리교회 예배에서 찬양을 부르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인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는 50일 간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시기입니다.
사회적 관심
초기 감리교 운동이 태동했던 시기부터 감리교인들은 보다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와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와 정치 3

연합감리교회와 정치의 관계에 관한 시리즈의 마지막 3편으로, 다양한 자료들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해 책임감 있는 정치 참여의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4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