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을 사랑하면 변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신앙생활을 하는 중에 무기력증을 앓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주된 이유 중 하나는, 헌신적으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삶의 변화가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믿음을 앞세워 목표도 세워보고 매번 새롭게 다짐도 해 보지만 너무도 허무하게 제자리로 돌아와 버릴 때 우리의 영적 무기력은 더욱 가중됩니다.

그런데 성령 안에서의 삶의 변화란 나쁜 습관 몇 가지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신앙생활 하면서 그런 식의 삶의 변화 정도를 기대했다면 차라리 전문 분야의 트레이너나 상담가를 찾아가는 것이 빠를지도 모릅니다. 믿는 사람들의 변화는 속(inside)이 변하는 일입니다. 모든 것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고, 모든 상황을 대하는 마음자세가 바뀌는 일입니다. 이 일은 애써서 되는 일이 아닙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 모든 것이 다르게 보이고 다르게 대해지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없으니 손을 놓고 기다리자는 것이 아닙니다.

저는 대학교 2학년 신학생 시절, 군입대를 6개월 정도 앞두고 책 읽는 일에 심취한 적이 있습니다. 군대 때문에 휴학을 한 상태였지만 시골 집에는 내려가지 않고 학교 기숙사에 얹혀 살면서 무려 6개월 동안 놀고 먹으면서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책만 읽을 수 있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저의 책 읽기는 보통 이런 식이었습니다. 책을 읽다가 깊이 감동되는 책을 만나면, 그 책을 저술한 분의 다른 저서들을 모조리 사서 읽는 식이었습니다. 같은 사람이 저술한 책들이기 때문에 책의 내용 중에는 중복되는 것들도 있었고, 같은 생각과 시각으로 수많은 다른 주제들을 다루는 전개방식 등도 엿보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이 저술한 책 다섯 권 정도만 정독해서 보면, 보통 그 사람의 정신세계 그리고 하나님과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 등이 어느새 읽는 사람의 마음에도 스며드는 것 같습니다. 일례로, 한참 동안 누군가의 책에 심취해 있을 때에 어떤 상황이나 문제들을 대하면 저도 모르게 그 사람의 마음자세와 시각으로 그것들을 대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한 사람, 한 사람의 저서들을 읽어 나가면서 제 속에도 여러 번 시각이 바뀌고 마음이 바뀌는 경험을 했습니다.

‘말씀으로 변화된다’는 말의 의미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일 주일에 설교 한번 듣고 위로를 얻어 한 주간을 사는 방식으로는 속으로부터의 변화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주님의 마음과 시각이 말씀을 통해 우리의 삶에 고스란히 스며들 정도가 되려면 진정으로 말씀을 사랑하고 종일 붙어 있어야 합니다. 말씀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온 종일 그 말씀을 조심조심 마음에 담아 두는 것이 생활이 되어야 합니다. 콩나물 시루에 물을 끊임없이 끼얹는 것처럼 삶의 변화가 당장은 보이지 않는 것 같아도 계속해서 말씀 앞에 우리 자신을 노출시켜야 합니다.

어떤 분은 배우자로부터 20년간 잔소리를 들은 끝에 이제야 비로소 치약을 밑에서부터 짜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말씀을 매일같이 사랑하지 않고, 일 주일 한번 만나 잠깐 데이트를 하는 식으로는 속으로부터의 진정한 변화가 일어날 수 없습니다. 말씀을 사랑한다는 것은 말씀을 눈과 귀와 마음에 온 종일 끼고 사는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을 사랑해야 삶이 변합니다. 주님의 마음과 우리 마음이 어느새 이심전심이 되어 가는 것입니다. 그 일이 먼저이고 차차 삶이 변화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성령께서는 오늘도 이 일을 위해 우리를 도우시고 독려하십니다.

글쓴이: 조선형 목사, 시카고예수사랑교회, IL
올린날: 2015년 11월 10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선교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2025년 9월 29일 저녁, 뉴저지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위치한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개회예배가 끝난 뒤 참석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2025, “다시, 그리스도의 몸” 주제로 뉴저지에서 개막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2025년 9월 29일 저녁, 뉴저지 이스트 브룬스위크에 있는 갈보리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이번 총회의 주제는 “다시, 그리스도의 몸: 돌아봄.돌봄.하나됨!”이며, 주제 성구는 고린도전서 12장 27절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이다. 한인 총회는 오는 10월 2일까지 나흘간 이어질 예정이다.
개체교회
2025년 9월 13일, 시카고한인제일연합감리교회 교인들, 무디신학교 합창단원들, 한인 커뮤니티 단체 회원들, 그리고 지역사회 일원 등 170명의 자원봉사자가 난민·이웃 초청 큰 잔치를 앞두고 오리엔테이션을 가진 뒤 한자리에 모였다. 사진 제공, 시카고한인제일연합감리교회.

난민과 함께한 교회 창립 102주년

시카고제일한인연합감리교회는 창립 102주년을 맞아 교회의 문을 활짝 열고, 시카고의 가장 새로운 이웃이자 취약한 이웃인 난민들을 환영했다.
신앙 간증
2018년 1월 30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의 앤디 올리버 목사(왼쪽)가 탬파 이민 사무소 앞에서 루이스 블랑코와 함께 기도하고 있다. 교회는 블랑코와 가족이 추방 절차를 겪는 동안 그들에게 지지를 보냈다. 올리버 목사는 현재도 플로리다의 소외된 공동체와 연대하며, 주 내 이민자 구금시설 앞에서 매주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웨슬리를 본받아 약자와 동행하는 목사

30대 초반 심장마비로 목회 현장을 떠났던 앤디 올리버 목사는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처럼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감리교인의 정체성을 실현하고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