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참정권과 인권을 위해 헌신한 클라라 찬 리

(편집자 주: 미국은 매년 5월을 아시아계 및 태평양제도계 미국인 유산의 달(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Heritage Month, AAPI Heritage Month)로 기념한다. 이는 1978년, 일주일간의 기념 주간으로 시작되었고, 1990년부터 5월 한 달 동안 기념하게 되었으며, 1992년에 공식적으로 아시아계 및 태평양제도계 미국인 유산의 달로 지정되었다. 이달을 기념하며, 감리교 운동의 선구자 중 한 명인 아시안 여성, 클라라 찬 리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클라라 찬 리(Clara Chan Lee)는 미국에서 최초로 유권자 등록을 한 중국계 미국인 여성으로, 여성 참정권론자이자 인권 운동가이며, 지역사회 지도자였습니다.

클라라 찬은 1886년 10월 21일,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찬 혼 펀(Chan Hon Fun) 목사와 오먹 게이(Ow Muck Gay)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격랑의 20세기 초, 클라라의 가족은 오클랜드로 이주했고, 그녀의 아버지는 1900년부터 1909년까지 오클랜드 차이나타운의 중국인감리교회(Chinese Community Methodist Church)에서 목사로 시무했습니다. 이 교회는 1850년대 중국 이민자들이 오클랜드에 처음 도착했을 때, 감리교중국선교회(Methodist Chinese Mission)에 의해 세워진 교회입니다. 당시 중국 노동자들은 농업과 공장, 캘리포니아 골드러시, 대륙횡단철도 건설 등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대거 미국으로 유입되었습니다.

클라라 찬은 중국인 감리교회의 유복한 가문의 아들인 찰스 굿올 리(Charles Goodall Lee)와 결혼했습니다. 찰스의 아버지는 중국인감리교회에서 평신도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이후 목사 안수를 받고 교회에서 사역했습니다. 클라라의 남편 찰스는 미국 최초로 중국계 미국인 치과의사 자격을 취득했으며, 그의 아버지처럼 중국인감리교회에서 평신도 지도자로 활발히 봉사했습니다.

남성 중국인 노동자가 미국으로 이주했지만, 당시 미국 내의 반중국 정서는 중국 여성들의 이민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미국에 거주하던 얼마 되지 않은 중국 여성도 인신매매를 통해 불법으로 입국한 노예나 성매매 여성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중국인감리교회는 이러한 여성들을 돕기 위해 학교와 쉼터를 설립했고, 그들을 인신매매로부터 해방시키는 데 앞장섰습니다. 클라라와 그녀의 남편은 이 교회의 핵심 가치인 지역사회 참여와 사회 정의 실현을 마음 깊이 새기고, 여성의 권리 향상과 교육에 큰 관심을 두었습니다.

 

참정권 운동과 여성의 자립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1911년 10월, 캘리포니아주는 주민발의안 4호(Proposition 4)가 통과되며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미국 내 여섯 번째 주가 되었습니다. 이는 미국 수정헌법 제19조가 통과되기 9년 전의 일이었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1911년 11월 8일, 클라라와 그녀의 친구 엠마 톰 렁(Emma Tom Leung)은 남편들과 함께 유권자 등록을 했고, 미국 최초로 유권자 등록을 한 중국계 미국인 여성이 되었습니다. 이들의 용기 있는 행동은 다른 여성들에게도 문화적 관습을 넘어 정치 참여의 권리를 실현하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1913년, 클라라는 미국과 중국 양국에서 중국 여성들의 권리와 자립을 증진하기 위해 <중국여성자립협회(Chinese Women’s Self-Reliance Association)>를 설립했습니다.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한 이 협회는 교육을 자유, 독립, 존경을 얻는 핵심으로 여겼습니다.

1913년 9월 22일, 자립협회는 중국세계(Chinese World)라는 신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긴 기사를 실었습니다.

“어찌 남성들이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자처하며, 여성 위에 군림하고 굴욕을 주며, 남성의 뜻대로 시중들게 할 수 있는가? … (여성이) 자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이 필요하다. … 여성들이 독립하려면, 우리가 하나의 큰 집단이 되어 서로의 생각을 모으고 지혜를 나누며 함께 배워 성장해야 한다. 우리의 목표는 개인의 자립 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이 개념을 중국 전역에 널리 알리고 퍼뜨려 수천 년간 여성들의 시야를 가린 암막을 걷어내는 데 있다.”

자립협회는 구성원들이 각각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거주하는 당시 여건으로 인해 자주 모임을 하기 어려웠고, 결국 몇 년 후 해체되었습니다. 그러나 클라라는 평생 중국인YWCA와 다양한 지역사회 단체에서 활동하며 여성 교육과 독립을 위한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클라라 찬 리는 1993년 10월, 10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여성의 교육과 자기 결정권을 위해 헌신적인 삶을 산 클라라 찬 리는 지금도 많은 여성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원문 보기

이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한국/아시아 뉴스 디렉터인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 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교회 역사
한국의 애스베리로 불리는 양주삼 목사는 미국의 북감리교회와 남감리교회 선교사들이 세운 두 개의 조선 감리교회를 하나로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사진 출처, 연합감리교역사보존위원회;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와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 감리교 선구자들을 아시나요?

아시아/태평양 문화유산의 달을 맞아, 감리교 역사의 선구자인 두 분의 한인 감리교인을 소개한다.
다문화 섬김
제1회 동남부 지역총회 아시아계 미국인 목회자 모임이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와싱톤한인교회에서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아시아계 목회자들은 아시안의 영적 유산을 되새기고, 유대감을 더욱 깊게 다지며, 혁신적인 리더십을 함양하고, 목회 사역의 방향성을 강화했다. 사진 제공, 전승수 목사.

동남부 지역 아시아계 목회자들, 정의롭고 포용적이며 함께 번영하는 미래를 꿈꾸다

제1회 동남부 지역총회 아시아계 미국인 목회자들이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와싱톤한인교회에서 모여 아시아계 목회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영적 유산을 기념하고, 유대감을 심화하며, 혁신적인 리더십을 함양하고, 정의롭고 포용적이며 함께 번영하는 미래를 소망했다.
사회적 관심
5월 아시안 유산의 달을 맞아,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는 <아시아계 미국인의 자화상>을 주제로 첫 웨비나를 열었다.  두 번째 웨비나는 오는 5월 19일에 열릴 예정이다. 그래픽,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

아시안 유산의 달에 살펴본 아시아계 미국인의 자화상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는 5월 아시아계 미국인 유산의 달을 맞아, 아시아계 한인 이민자의 정체성과 경험을 조명하는 웨비나 시리즈 첫 시간을 가졌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