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침묵...했다

사진 제공, 한명선 목사.사진 제공, 한명선 목사. 

처음엔
침묵...했다. 
조지 플로이드가 미네소타 거리에 깔려 마지막 숨을 쉴 때 
트레이본 마틴이 두 손을 머리 위로 든 채로 
쏘지 말라고, 제발 쏘지 말라고 외칠 때
나는 
침묵...했다. 

인종 차별은 
흑인과 백인들의 문제라
노란색인 나는 하얀색, 검은색 사이에 설 자리가 없는 것 같아 
온 나라가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인종 차별은 죄다.’라고
목소리를 하나로 모을 때도
혼란을 일으키는 일은 올바르지 못하고
개인의 권리보다 공동체의 안정이 더 중요하다 배우고 또 자란 
나는 
침묵...했다.

남쪽 국경에서 부모와 떨어진 아이들의 엄마를 찾는 울음소리가 
내 집 앞, 내 귓가에까지 들려올 때도 
그나마 먼저 이민 온 우리는 아이들과 따스운 방에서 잠잘 수 있어 다행이라고 되뇌며
나는 
침묵...했다.

이민자들이 모여 
“우리도 인간이고, 불법 이민자도 사람이다.”라고 외치며 거리로 나설 때도
먹고 살아야 하고
먹여 살릴 가족들이 있어서
감히 목소리를 냈다가 
세탁소, 네일 가게, 델리 가게에 오던 손님들의 발이 끊길까 두려워
나는 
침묵...했다.

국민의 선택을 받아 당선되었다는 지도자가
이민자들은 범죄자이고 강간범이다
이민자들 때문에 일자리 없어졌다 말할 때도
차이나 바이러스, 쿵푸플루라 부르며 사람들을 오도할 때도
힘 가진 사람에게 대들었다 5%도 되지 않는 우리 같은 사람
아예 멸절되거나, 사라질까 봐
남의 나라에 와사 사니 이 정도 냉대는 참아야지
그나마 미국은 나은 거라 
스스로 위로하고 설득하며 
나는 
침묵...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그랬더니
그렇게 한 번, 두 번, 세 번, 네 번
연거푸 침묵했더니
이젠 침묵...을 강요당하게 되었다.

동양 사람들이 일하는 스파만 골라 
먼 거리 운전해가며 총질을 해댔는데
그냥 나쁜 날이라
그냥 기분이 좋지 않은 날이라 
저지른 우발적 살인이란다
혐오가 아니란다.

우리 어머니, 우리 이모, 우리 고모, 우리 누이가 
남의 발 닦고, 남의 몸 주무르며
그렇게 땀과 눈물 흘리다 
피 흘리며 떠났는데
성 중독으로 인한 살인이란다
혐오는 아니란다
그러니 
침묵..하란다.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가 샌프란시스코, LA, 뉴욕에서
맞고, 밀쳐지고, 넘어지고, 침 세례를 받았는데도
동양인 혐오는 아니란다 
우발적 행동이란다.

내 앞에서 눈 찢고 도망가고
나의 어눌한 액센트를 따라 하면서
왜 이름이 그 모양이냐고
영어는 할 줄 아냐고
한국에서 왔으니 수학은 잘하겠다고
나, 내 아내, 내 아이, 내 동료, 내 친구들이 
한 번도 아니고 여러 번
이제는 너무 많아 일일이 세기도 귀찮을 정도로 놀림을 당했는데
그 모든 것이 혐오는 아니란다
우발적 개인행동이니 
침묵...하란다. 

침묵을 선택했더니
이젠 나의 침묵 위에 세운 
가짜 안정, 거짓 평화, 좁은 우리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조용히 하란다
강제로 
침묵...하란다.

대뉴저지연회의 한국계 미국인 목회자들이 아콜라연합감리교회에 모여 인종차별에 항거하는 의미를 담은 촛불기도회를 열었다. 사진 제공, 대뉴져지 연합감리교회 한인 목회자 코커스 (Korean-American Clergy Caucus of GNJUMC).대뉴저지연회의 한국계 미국인 목회자들이 아콜라연합감리교회에 모여 인종차별에 항거하는 의미를 담은 촛불기도회를 열었다. 사진 제공, 대뉴져지 연합감리교회 한인 목회자 코커스 (Korean-American Clergy Caucus of GNJUMC).


아니…
이젠 안 할 거야
이젠 침묵도 하지 않고
침묵을 당하지도 않을 것이고
물러서지도, 뽑히지도, 사라지지도 않을 거야.

그러니 내 입에 재갈 물릴 생각은 마.
아시아인 혐오는 없다고
동양인 차별은 없다고
아무 문제 없으니 공연한 갈등 일으키지 말라고
좋은 시민이 되라고
돈 잘 벌고, 좋은 대학 가서 좋은 직장 잡는 모델 마이너리티나 되라고
더는 내 입에 덫을 씌우지 마. 

난 한국인이고, 아시아인이며 또한 미국인이야.
여긴 내 집이고
난 내 집에서 벌어지는 모든 차별과 혐오에 대해
내 형제자매와 함께 
그동안 묻어놓았던 이야기를 
그리고 묻혔었던 목소리를
이제 내기로 했어.

아시아인을 향한 혐오를 멈춰라.
아시아인을 향한 폭력을 멈춰라.

정의가 물처럼, 공의가 마르지 않는 강처럼 흐를 때까지
이 소리를 멈추지 않을 테니
모든 이민자를 향한 증오와 혐오를 멈추고
모든 인종을 향한 차별과 폭력을 멈춰라.

하나님,
과거의 우리 침묵을 용서하시고
지금의 침묵에서 우리를 구원하소서.

선택한 그리고 강요된 침묵을 떨치고 일어나
소리치게 하소서.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혐오를 멈춰라.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자녀이다
차별을 멈춰라.

모든 사람은 소중하고 사랑받아 마땅하다
폭력을 멈춰라.

 


관련 기사 보기

아시안 연합감리교인들, 미국 내 아시아인을 향한 혐오 범죄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다

아시안을 향한 인종차별에 대해 미 연합감리교인들에게 보낸 정희수 감독의 목회 서신

연합감리교회 소수민족 지도자들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바이러스’발언을 규탄하다

연합감리교 총감독회 브루스 오 감독의 인종차별 반대 성명서에 지지를 표하다

메디슨 한인연합감리교회 인종차별을 점잖게 꾸짖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

인종차별주의와 웨슬리 전통

교회는 인종 간 정의에 책임감을 가져야

We Are God's Family: Personal Encounters with Racism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이민
미국 연방대법원의 최근 출생시민권 관련 판결과 관련해,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와 총회 기관 및 협력 단체들이 7월 17일 웨비나를 개최했다. 현재 출생시민권은 안전한 상태이지만, 교회 지도자들은 현행 이민 정책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했다. 6월 기준, 이민세관집행국(ICE)에 체포된 사람 중 71%는 범죄 기록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사프완 토톨리 제작, Unsplash 제공; 지도 이미지, OpenClipart-Vectors 제작, Pixabay 제공;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 연합감리교뉴스.

교회가 선포한 이민자 보호와 출생시민권

출생시민권과 관련한 최근 동향을 전하며, 연합감리교회 지도자들은 고통받는 이민자 현실과 이민세관집행국 요원들의 미국 내 이민 단속 강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사회적 관심
한국옵티칼하이테크 노동자들의 189번째 고함예배에 참석한 사람들 모습. 사진 출처, <고난함께>.

"고난받는 이들과 함께하는 모임": 한국 사회의 아픔을 품는 감리교적 실천과 선교 2

<고난함께>의 전남병 목사는 존 웨슬리의 총체적 구원 신앙을 따라 고난받는 이웃과 끝까지 연대하며, 기도와 재정의 어려움 속에서도 신앙 고백으로 사역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히며, 많은 기도와 후원을 부탁했다.
사회적 관심
2025년 5월 26일(월) 저녁 7시 서울시의회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고난함께>가 스텔라데이지호 침몰참사 미수습자 가족과 함께하는 고함예배를 드리고 있다. 사진 출처, <고난함께>.

"고난받는 이들과 함께하는 모임": 한국 사회의 아픔을 품는 감리교적 실천과 선교 1

<고난함께>는 인권, 평화, 통일이라는 세 가지 사역을 중심으로 한국 교회와 사회의 고난받는 이들과 연대하며, 신앙의 언어로 정의와 화해, 평화를 실천해 온 감리교 사회선교 단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