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非常)’에는 ‘비상(飛翔)’하라

(편집자 주: 연합감리교뉴스는 계엄으로 인한 한국의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한국 교회와 한국 시민들과의 연대를 약속한다. 글은 한국의 상황과 관련한 이창민 목사의 목회 칼럼이며, 목사의 허락을 받아 게재한다. 연합감리교뉴스는 언제나 다양한 의견을 담은 글을 환영합니다.)

이창민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이창민 목사,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살면서 꼭 기억해야 할 특별한 날들이 있습니다. 바로 자신과 가족의 생일, 부모의 기일, 결혼기념일처럼 삶의 소중한 순간들을 기념하는 날들입니다. 때로는 분주한 일상을 살면서 이런 날들을 잊어버리기도 하지만, 모두의 기억 속에 깊이 새겨져 있는 잊을 수 없는 날들도 있습니다.

물론 그중엔 달력에 빨간 글씨로 표시된 공휴일도 있지만, 모두가 함께 기억하는 날들은 종종 역사 속 비극적인 사건들이 발생한 날들입니다. 6·25, 10·26, 5·18, 4·19, 12·12와 같은 날짜들은 수십 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현대사의 깊은 상처와 아픔을 떠올리게 하며, 우리의 머릿속에 뚜렷이 기억되는 역사적 트라우마로 남아 있습니다.

얼마 전, 한국에서는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로 인해 또 하나의 날짜가 우리의 역사와 기억 속에 새겨졌습니다. 바로 12월 3일입니다. 이날, 국민들은 계엄령 선포 뉴스를 듣고 충격에 빠졌습니다.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계엄령이 선포된 해가 1979년이었기에, 젊은 세대에게는 교과서 속 역사 이야기로만 알던 사건이 갑작스러운 현실로 다가온 것이었습니다.

계엄령 선포 후 약 2시간 만에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신속히 통과시켰고, 대통령은 6시간 만에 계엄령을 해제하며 사태는 우선 일단락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벌어진 여러 가지 의혹과 혼란은 사회적 불안을 증폭시켰고, 국민들의 마음에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또한 이 사건은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으며, 해외 언론의 시선도 끌었습니다.

이 사건은 국민들에게 깊은 불안감을 안겨주었으며, 정치적 해법을 모색한다는 미명아래 정부는 정부대로 정치인들은 정치인들대로 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계엄령의 법적 책임을 묻는 목소리와 함께 동원된 군과 경찰의 정당성을 둘러싼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회는 대통령 탄핵안을 상정하였고, 지난 12월 14일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대통령의 직무는 즉시 정지되었습니다.

역사의 비극으로 기억되는 날들은 우리나라가 벼랑 끝에 내몰렸던 순간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절망과 좌절, 아픔과 무기력함이라는 벼랑 끝으로 내몰렸던 우리의 조국은 그때마다 다시 일어섰습니다. 전쟁의 상처를 극복했고, 경제적 위기를 넘겼으며, 정치적 혼란마저 수습해 왔습니다. 언젠가 시간이 흘러, 12월 3일 또한 고통스러운 기억을 넘어, 역사적 비극을 극복한 날로 기억될 것입니다.

우리 조국은 수많은 위기를 넘어 벼랑 끝에서 다시 날아오를 저력을 지닌 나라입니다. 우리 민족은 굶주림 속에서도 서로를 돕고, 생사의 갈림길에서도 가족의 손을 놓지 않았던 사람들입니다. 나라를 살리기 위해 중동의 뜨거운 사막에서, 서독의 탄광에서, 그리고 낯선 이국땅에서 땀과 노력으로 새로운 삶을 개척해 온 사람들입니다.

12월 3일도 그런 날로 기억될 것입니다. 우리 민족의 저력을 다시금 확인하고, 위기 앞에서 하나로 뭉쳤던 역사를 되새기는 날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마음을 모아 위기를 극복해 왔고, 국가의 미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 줄 아는 품격 있는 민족임을 증명해 왔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문화부 장관을 지낸 고 이어령 교수가 벼랑 끝에 서 있던 나라의 미래를 내다보며 했던 기도문에는 ‘비상(非常)’에는 ‘비상(飛翔)’할 때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이어령 교수는 뜻밖의 긴급한 사태가 일어난 ‘비상(非常)’이야말로 우리가 날아오를 수 있는 기회, 즉 새로운 시작을 향해 ‘비상(飛翔)’해야 할 때라고 말합니다.

성경은 사람 사는 세상이 항상 ‘비상(非常)’이었다고 말합니다. 한 번도 일상적이고 평범했던 적은 없었으며, 매 순간이 위기와 도전이었음을 강조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비상시에 믿음의 사람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믿음으로 일어나 하나님이 맡기신 일을 감당하며 위기를 극복해 냈습니다.

이어령 교수는 이렇게 절망의 벼랑 끝에서 다시 날아오르기 위해서는 날개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싸움밖에 모르는 정치인들에게는 비둘기 날개를, 살기에 지친 서민에게는 독수리 날개를, 주눅 든 기업인들에게는 갈매기의 비행을 가르쳐 주시고, 진흙 바닥의 지식인들에게는 구름보다 높이 나는 종달새의 날개를 주소서. 갈등으로 더 이상 찢기기 전에 기러기처럼 나는 법을 가르쳐 주소서. 소리를 내어 서로 격려하고, 선두의 자리를 바꾸어 가며 대열을 이끌어 간다는 저 신비한 기러기처럼 우리 모두를 날게 하소서’

지금은 ‘비상(非常)’의 상황이며, 믿음의 날개를 펴고 ‘비상(飛翔)'해야할 때입니다. 우리는 반드시 다시 일어서야 합니다. 일어서서 이전보다 더 열심히 달려가야 합니다. 위기의 벼랑 끝에서도 서로를 격려하며, 다시 미래를 향해 힘차게 비상하는 자랑스러운 조국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 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체교회
갈매기들이 흐린 하늘을 가로질러 날아가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미래가 궁금하시나요?

2023년 사역에서 은퇴한 김용환 목사는 2024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연차대회에 참석한 후, 자신이 느낀 소감을 보내왔다.
개체교회
고등교육사역부에서는 소수민족/인종사역자훈련기금으로 최대 1만 불까지 지원한다. 신청은 2025년 1월 3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접수 마감일은 2025년 3월 31일이다. 한인 교회나 한인 교역자가 사역하는 교회는 모두 지원 대상이 된다. 사진 출처, 총회고등교육사역부.

2025년 소수인종사역자훈련(EIST) 기금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다

고등교육사역부에서는 소수민족인종사역자훈련기금으로 최대 1만 달러까지 지원한다. 신청은 2024년 1월 3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접수 마감일은 2025년 3월 31일이다. 한인 교회나 한인 교역자가 사역하는 교회도 이 기금을 신청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