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감리교인이 술을 마셔도 되나요?

술을 마셔도 되나요?

연합감리교인들은 종종 이 질문을 듣거나 묻습니다. 연합감리교회는 우리 교인들이 “계획적이고 의식적으로 자제력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술을 마신다면, 그것을 금하지 않습니다. 다만, 연합감리교회와 전신인 감리교회와 형제교회는 절제 운동에 깊이 관여했고, 술과 다른 약물을 금하는 것이 “하나님의 해방과 구속의 사랑”을 증거하는 것이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준비하신 삶을 사는 것이라고 믿어 왔습니다.

오늘날 연합감리교회는 여전히 금주를 권장하지만 의무화하지는 않으며, 감리교인이었던 토마스 웰치가 포도주스를 개발한 이후, 감리교인들과 다른 교파의 기독교인들은 성찬식에 포도주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특히 알코올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의 목적으로 연합감리교회에서는 포도주스를 성찬식에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금욕을 신실한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의 출발점으로 삼고, 우리의 행동을 인도하는 규범으로 여깁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따라서 술을 마셔도 되는지에 관한 질문은 우리에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은 자신의 삶과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삶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더 넓은 사회에 알코올이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에 직면한 이웃들을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술을 마시지 말라고 요구하거나 우리 자신의 개인적 선택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알코올이나 기타 약물 남용으로 이어지는 문제에 더욱 적극적인 사역을 펼칠 것을 약속합니다. 우리에겐 약물 남용이나 알코올 중독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배려하며,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소명이 있습니다. 우리는 알코올 남용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사람과 함께 사역하고, 그들을 돕는 일에 부름을 받은 존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알코올 남용을 제한하기 위한 교육 및 기타 예방 전략을 지지하며, "알코올 판매 및 유통을 규제하는 법률의 엄격한 집행"을 촉구하는 공공 정책에 찬성합니다.

이는 연합감리교회가 알코올과 다른 약물 남용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 특히 정신 질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경제적으로 접근 가능한 치료 옵션을 지지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우리 연합감리교회는 "(알코올과 약물) 남용이나 중독으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들과 그 가족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자유를 찾고, 지속적인 치료와 상담을 받아 사회에서 새롭게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헌신하고 있습니다.”

연합감리교인은 술을 마셔도 되나요? 네. 하지만 술을 마셔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 것보다 술로 인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이웃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우리의 배려를 나타내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이와 관련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연합감리교회 총회사회부의 알코올과 기타 중독(Alcohol and Other Addictions)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개체교회
영화 <장미의 이름>의 소재가 된 울베르토 에코 장편소설 <장미의 이름>의 표지 중 일부.

영화 《장미의 이름 The Name of the Rose》에 나타난 기독교윤리 1-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중세 기독교 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중용의 교리와 신앙의 실천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통찰로 이어졌다. 김영일 교수는 종교는 인간에게 의미와 소속감, 평화와 윤리, 더 나아가 사회 통합과 변화의 동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를 외면하는 교회는 살아 있는 교회가 아니라고 말한다.
교단
2025년 6월 11일, 북일리노이 연회 목회자 은퇴 예배에서 임대규 목사가 지휘하는 한인목회자 찬양팀이 찬양을 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교단 헌법 개정은 다름을 존중하는 교회가 되려는 노력입니다

현혜원 목사는 2025년 북일리노이 연회에서 총회 헌법 개정안 4건에 대한 비준 투표에 참여하며 느낀 소감을 전한다.
사회적 관심
6월 4일 오전 국회 로텐더홀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국회사진기자단.

2025년 대선, 어떻게 보아야 하나?

박충구 교수는 계엄으로 인해 치러진 2025년 대선을 돌아보며, 하나님은 억압받는 이들이 해방되고, 이 땅에서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원하시며, 그 길은 민주주의 안에서만 열린다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