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 수요일은 언제 시작했고, 왜 기념하나요?

재의 수요일은 많은 그리스도인이 금식, 회개, 절제 및 영적 훈련을 통해 부활절을 준비하는 사순절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재의 수요일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20세기까지 연합감리교회 예배 의식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재의 수요일은 두 가지 주제, ‘하나님 앞에서 죄인 된 인간의 모습’과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의 모습’을 강조합니다. 재의 수요일 예배는 이 두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인해 우리가 죄와 죽음으로부터 승리한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돕습니다.

재는 아주 오래된 상징입니다. 창세기를 통해, 하나님께서 흙으로 인간을 창조하셨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창 2:7)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한 첫 번째 인간들은 하나님께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창세기 3:19)라는 말씀을 듣습니다. 히브리어로 번역된 흙(dust)은 때때로 다른 곳에서는 재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성경 전체적으로 재는 사람들이 용서를 구하거나 자신들의 죄를 슬픔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습니다.(민수기 19:9, 19:17히브리서 9:13요나 3:6마태복음 11:21누가복음 10:13).

사순절 시작을 표시하기 위해 우리가 이마에 재를 바르는 의식은 적어도 10세기경부터 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초기에는 재를 심각한 죄로 인해 교회로부터 분리되거나 제명되어 살던 사람들을 다시 교회의 신앙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는 표시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들은 재를 뿌리고 거친 옷을 입어 자신들의 죄에 대한 슬픔을 표시하고, 사순절 기간을 통해 새로운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겠다고 서약했습니다.

10세기 이후, 재의 수요일은 일반적인 예식이 되었습니다.

1992년 예배서에는 연합감리교회가 “재를 사용하는” 재의 수요일에 대한 공식적인 예배를 채택했습니다. 그 이전에는 1964년 예배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공식적인 예배가 없었고, 1965년부터는 "재를 사용하지 않는” 재의 수요일 예배를 드렸습니다.

많은 교회가 지난 종려 주일의 종려나무 잎을 태워 재를 만들고, 그 재를 이마에 십자가 모양으로 바릅니다. 이마에 십자가 표식을 하는 것은 우리의 슬픔과 죄에 대한 회개를 외부로 표시한 것입니다.

이마에 재를 바르면서, 창세기 3장 19절의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라는 하나님이 아담에게 하신 말씀이나 마가복음 1장 15절의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라고 예수께서 선포하신 메시지를 들려줍니다.

사순절 첫날 재의 수요일은 재를 바르는 의식을 통해 우리는 죽을 수밖에 없는 유한한 삶을 가진 존재을 인식하고, 죄를 회개하며, 우리가 누구이며 또한 우리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기억하며 회개하고 참회하는 날입니다.

재의 수요일에 관한 예배 예문은 연합감리교예배서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 When did Ash Wednesday begin and why do we celebrate를 재편집한 것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tkim@umnews.org로 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학
녹색은 주현절 후 강단에 사용되는 색이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한다. 사진, 수샌 닐스, 플리커,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 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사회적 관심
전남 무안공항에서 여객기 착륙 도중 충돌 사고가 난 29일 오후 소방 당국이 여객기 잔해를 살피고 있다. 사진 출처, 뉴시스.

연합감리교인들은 재난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로 179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연합감리교인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재난과 재해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