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감리교회와 정치 3

(편집자 주: 한국과 미국에서 교회의 정치 참여를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연합감리교회는 <교회와 정치>관계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3회에 걸쳐 소개하려 한다. 이번 기사는 시리즈의 3부로 다양한 자료들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해 책임감 있는 정치 참여의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선출된 정치 지도자들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을 때도 우리는 이들을 존중하고 따라야 합니까?

선출된 지도자가 우리가 지지하는 후보자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연합감리교인들은 공익을 위해 일하는 모든 지도자를 위해 함께 기도하고, “모든 이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고, 정의를 위해 헌신하는 지도자들의 노력에 지지를 표합니다.”

연합감리교인들은 선출된 지도자들이 모든 국민을 대신해 결정을 내려야 하는 어려움과 자신들이 내린 결정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부담이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회는 위정자들에게 맹목적으로 복종하지 않으며, 지도자들이 정의로운 정책 시행을 잘 감당하도록 함께 책임지고, 부당한 일에는 정부에 “윤리적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노력합니다. (정치적 책임)

교회는 정부가 국민들의 인권을 보호하도록 돕고, 탄압하거나 차별하는 일을 반대합니다. 시민들은 지도자들이 책임감을 느끼고, 권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정의롭지 못하거나 해로운 정책을 펼칠 때, “성서적 신앙에 따라, 시민들은 위정자들에게 불복종의 입장을 표명할 일이 필요할 수도 있다(사도행전 4:1-20).”라고 성서는 증거하고 있습니다. (교회와 정부의 관계)

세상을 변혁시켜야 할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인 우리는 더욱더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온전히 참여해야 할 책임이 있음을 진지하게 받아들입니다.

 

우리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 관해, 우리는 어떻게 신실함을 잃지 않고 대응할 수 있습니까?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연합감리교인들은 세상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개인적 또는 집단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 상하원 의원들이나 정치 지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거나, 그들을 만나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편집자에게 편지를 보내고, 기도회나 시위 또는 소셜미디어 캠페인에 참여하여, 뜻이 맞는 이들과 함께 특정한 이슈가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함께 공부하고, 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함께 일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교회의 사회부 직원들은 여러분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드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분의 지역에 비슷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하고 있는 사람들과 연결해 드릴 수도 있습니다.

개체교회들을 위한 자료집인 “함께 변화를 이루기: 신실한 시민 참여를 위한 도구들”(Creating Change Together: A Toolkit for Faithful Civic Engagement)은 우리에게 우려가 되는 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와 정치적 견해가 다른 이들과는 어떻게 대화해야 합니까?

사회적, 정치적 이슈들에 대해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기독교인들 역시 가족과 친구들 그리고 교인들과 건전한 대화를 나누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정치적인 견해의 차이는 때때로 불필요한 갈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잘만 다룬다면 은혜롭고 너그러운 대화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긍휼의 마음과 호기심을 가지고 대화를 시작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공손한 경청의 자세를 연습하십시오. 각자의 가치관을 명확히 나누면서 공통점을 찾아보고, 각자의 이익보다 공공의 선을 이루기 위한 일에 초점을 맞추십시오. 여러분이 말하는 내용과 방법을 성서와 연합감리교회의 사회 원칙과 결의문 및 연합감리교회의 전통과 역사에 비추어 생각해 보십시오.

“거룩한 대화를 나누기 위한 지침: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기대하시는 일(Guidelines for Holy Conferencing: What God Expects of Us)”은 우리가 모두 하나님의 자녀임을 깨우쳐 줍니다. 인간의 존엄성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뿌리를 두고 있고,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소중한 자녀이기에, 다른 사람들의 견해나 행동을 함부로 판단하거나, 정죄해서는 안 됩니다. 

중재와 갈등 해소를 위해 공정 평화 센터(Just Peace Center for Mediation and Conflict Transformation)는 환영하는 자세의 대화(welcoming conversations)를 위한 도구와 자료를 제공해 줍니다.

‘용기있는 대화(Courageous Conversations)” 시리즈는 개체교회들이 갈등의 고착 관계를 극복하고, 경청하는 방법을 발견하여, 나와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고, 사랑 안에서 존중하는 자세로 의견의 차이를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계발된 자료집입니다.

원본 보기

관련 시리즈 기사 보기

연합감리교회와 정치 1

연합감리교회와 정치 2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Thomas E. Kim)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 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이민
미국 연방대법원의 최근 출생시민권 관련 판결과 관련해, 연합감리교회 총감독회와 총회 기관 및 협력 단체들이 7월 17일 웨비나를 개최했다. 현재 출생시민권은 안전한 상태이지만, 교회 지도자들은 현행 이민 정책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했다. 6월 기준, 이민세관집행국(ICE)에 체포된 사람 중 71%는 범죄 기록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사프완 토톨리 제작, Unsplash 제공; 지도 이미지, OpenClipart-Vectors 제작, Pixabay 제공;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 연합감리교뉴스.

교회가 선포한 이민자 보호와 출생시민권

출생시민권과 관련한 최근 동향을 전하며, 연합감리교회 지도자들은 고통받는 이민자 현실과 이민세관집행국 요원들의 미국 내 이민 단속 강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사회적 관심
한국옵티칼하이테크 노동자들의 189번째 고함예배에 참석한 사람들 모습. 사진 출처, <고난함께>.

"고난받는 이들과 함께하는 모임": 한국 사회의 아픔을 품는 감리교적 실천과 선교 2

<고난함께>의 전남병 목사는 존 웨슬리의 총체적 구원 신앙을 따라 고난받는 이웃과 끝까지 연대하며, 기도와 재정의 어려움 속에서도 신앙 고백으로 사역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히며, 많은 기도와 후원을 부탁했다.
사회적 관심
2025년 5월 26일(월) 저녁 7시 서울시의회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고난함께>가 스텔라데이지호 침몰참사 미수습자 가족과 함께하는 고함예배를 드리고 있다. 사진 출처, <고난함께>.

"고난받는 이들과 함께하는 모임": 한국 사회의 아픔을 품는 감리교적 실천과 선교 1

<고난함께>는 인권, 평화, 통일이라는 세 가지 사역을 중심으로 한국 교회와 사회의 고난받는 이들과 연대하며, 신앙의 언어로 정의와 화해, 평화를 실천해 온 감리교 사회선교 단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